조세회계

제목 건물 멸실 후 주차장이 된 토지, 별도합산과세 대상일까
등록일 2024-03-27
조세일보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
 
건축물이 멸실된 후,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토지는 '종합합산과세대상'에 해당한다는 행정안전부의 유권해석이 나왔다.

최근 행안부는 과세기준일 현재 기존건축물이 멸실되어 6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토지를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경우, 별도합산과세대상 토지에 해당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지방세법 제106조 제3항에서는 '재산세의 과세대상 물건이 토지대장, 건축물대장 등 공부상 등재되지 아니하였거나 공부상 등재현황과 사실상의 현황이 다른 경우에는 사실상의 현황에 따라 재산세를 부과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다만, '재산세의 과세대상 물건을 공부상 등재현황과 달리 이용함으로써 재산세 부담이 낮아지는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공부상 등재현황에 따라 재산세를 부과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토지분 재산세는 원칙적으로 종합합산과세를 기본으로 하나, 경제활동 및 토지의 적정 보유 규모, 정책적 필요성에 따라 별도합산과세 및 분리과세로 구분해 일정한 요건을 갖춘 토지에 대하여 예외적으로 구분 기준을 두고 있다.(2010헌바405, 2012.4.24. 등 참조)

아울러, 지방세법 제106조 제1항 제2호 다목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03조의2에 따르면 과세기준일 현재 건축물 또는 주택이 사실상 철거·멸실된 날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공부상 철거·멸실된 날부터 6개월이 지나지 아니한 건축물 또는 주택의 부속토지의 경우 별도합산과세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다만, 이 경우 건축법 등 관계 법령에 따라 허가 등을 받아야 하는 건축물 또는 주택으로서 허가 등을 받지 않은 건축물 또는 주택이거나 사용승인을 받아야 하는 건축물 또는 주택으로서 사용승인을 받지 않은 경우는 제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편,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94조의14에서는 건축물 부속토지의 범위를 규정했는데, '건축중인 경우'를 '건축중인 경우와 과세기준일 현재 건물멸실등기를 한 날부터 6월이 경과하지 아니한 경우'로 개정했고, 이는 '건축중인 토지'는 별도합산과세대상이므로 건축물 멸실 후 다시 건축하기 위한 준비기간 등을 고려해 멸실일부터 6개월 간은 건축중인 토지와 같이 별도합산과세대상으로 보도록 개정한데 그 이유가 있다.

이런 조문이 지방세법 제106조 제1항 제2호 다목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03조의2의 별도합산과세대상으로 다시 개정된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공사 절차의 경우 건축물 등의 멸실을 수반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일시적인 나대지 상태가 된 경우에 대해 종합합산과세를 적용해 납세자의 세부담이 급격히 증가되는 불합리를 보완하려는데 그 취지가 있다.

행안부는 이에 "지방세법 제106조 제1항 제2호 다목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03조의2에서 규정하는 별도합산과세의 취지는 재산세 과세기준일 현재 다른 용도로 이용하는 토지까지 별도합산과세대상으로 구분하는 것은 토지분 재산세 기본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해당 토지는 건축물이 멸실된 이후, 차단기 설치·아스콘 포장·무인 수납기 설치 등 주차장으로 이용되는 사실이 명확히 확인되었으며, 이를 공사과정에서 수반되는 일시적인 나대지 상태의 토지로 볼 수 없는 점 등 사실관계 및 입법취지, 종전 판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과세기준일 현재 토지 이용현황에 맞게 종합합산과세대상으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참고 : 지방세법령정보시스템 부동산세제과-515]

[저작권자 ⓒ 조세일보(http://www.joseilb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